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0대 이하 청년층, 작년 코인거래소에 19조원 넣었다 가상자산거래소..이제는 기능·책임 강화

반응형

전체 투자자의 절반 넘어…거래소 직원도 20∼30대 압도적

영업이익률 코인베이스 2배
수익 대비 개발비 지출 미미
제도권 금융시스템 편입에는
서비스개선·재무안정 중요해

 


 

가상화폐 투자 열풍이 불었던 지난해 30대 이하 청년 투자자들이 국내 대형 가상화폐 거래소에 넣어둔 돈은 19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의원(국민의힘)이 금융감독원으로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등 5개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가 지난해 말 보유한 투자자금은 총 52조8천155억원이다.

이 가운데 20대 이하와 30대 투자자의 돈은 19조461억원(36%)으로 집계됐다.

 

이는 투자자가 원화 거래를 통해 매수한 가상화폐의 가치와 거래소 계정에 예치한 현금을 잔액 기준으로 합산한 것이다.

연령별 보유 잔액을 구체적으로 보면, 20대 이하와 30대 투자자의 보유액은 각각 4조2천425억원, 14조8천36억원이었다. 1년 전보다 각각 3조6천426억원, 10조6천639억원 늘었다.

가장 많은 금액을 보유한 연령층은 40대였다.

40대 투자자의 보유 금액은 총 17조5천394억원으로 전체의 33%를 차지했다. 50대 투자자는 11조8천860억원(22%), 60대 이상은 4조3천440억원(8%)을 갖고 있었다.

원화 거래를 제공하는 5개 거래소만을 중심으로 집계한 것이어서, 이외에 가상자산사업자(VASP) 자격을 획득한 나머지 국내 25개 거래소의 보유 잔액까지 모두 합하면 최종 숫자는 좀 더 커진다.

30대 이하 청년층이 전체 투자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을 넘었다.

올 초 기준으로 이들 5개 거래소의 회원 수를 연령별로 구분한 뒤 단순 합산해보면 20대 이하(246만2천795명)와 30대(285만6천738명) 투자자는 총 531만9천533명으로, 전체 926만8천698명 중 57.3%를 차지했다.

거래소 직원들을 연령별로 봐도 20∼30대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지난해 업비트와 빗썸의 직원 연령 분포를 살펴보면, 30대 이하인 직원 비중은 각각 67%(300명), 70%(223명)였다.

특히 코빗의 경우 20∼30대 직원의 비중이 87%(92명)로 젊었고, 코인원(81%·112명)과 고팍스(82%·69명) 역시 80%를 넘겼다.

윤창현 의원은 "코인 투자자의 절반 이상이 30대 이하이고 거래소 종사자 대부분도 청년들"이라며 "가상자산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이용자 보호 수준을 강화하는 전략이야말로 최고의 청년정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가상자산거래소가 지난해 어마어마한 실적을 거뒀다. 두나무와 빗썸코리아의 영업이익만 4조원이넘는다. 직원들은 ‘억대’ 급여와 함께 ‘억대’ 복리후생 혜택도 누렸다. 불과 몇년 전만 해도 따가운 시선을 받았던 가상자산시장에 일찌감치 뛰어들었고, 마침내 지난해 시장이 급팽창하며 얻은 ‘결실’이다. 두 회사가 지난해 납부한 법인세만 1조2000억원에 달한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과연 가상자산거래소들이 지난해 거둔 막대한 수익을 바탕으로 어떻게 서비스와 역할을 확대해 갈지다.

지난해 미국 코인베이스는 78억달러(약 9조4552억원)에 영업이익 31억달러(3조7100억원)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6.1배, 7.5배 급증한 수치다. 영업이익률은 약 40%다. 지난해 두나무와 빗썸코리아의 영업이익률은 각각 88.31%, 77.45%다.

 

 

2020년 3분기까지만 해도 1만달러 아래였던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해 최고 5만달러를 넘었다. 비트코인 1개를 거래할 때 수수료가 5배로 늘어난 셈이다. 거래도 더 활발해져 수수료 수익은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했다. 가상자산 가격 상승은 시장 참여자의 기능이지만 원활한 거래는 거래소의 역할이다. 수수료는 그 대가다. 그런데 같은 거래소인데 한·미 업체 간 차이가 너무 크다.

지난해 금융위가 조사한 가상자산거래소의 수수료율 평균은 0.17%다. 한국거래소 주식매매수수료율 0.0027%보다 62배나 높다. 가상자산거래소가 한국거래소와 증권사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직접 비교는 어렵다. 시장 점유율이 80% 안팎인 업비트(두나무 운영)의 수수료율은 0.05%로 가장 낮아 일부 평균의 오류도 존재한다. 하지만 엄청난 수준의 영업이익률이 현재의 수수료율로 가능했다는 점은 분명하다.

거래소는 수수료를 받아 서비스와 시스템에 투자한다. 코인베이스는 지난해 매출액의 16%가 넘는 13억 달러를 기술개발비용으로 지출했다. 두나무의 지난해 연구개발비는 147억원이다. 빗썸코리아는 별도의 연구개발 조직을 갖고 있지 않고 있다. 관련 지출을 일반비용으로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은 금융의 한 영역이 돼가고 있다. 가상자산거래소들은 지난해부터 ‘특정 금융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금융위원회 신고를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 제도적 틀이 미비하다. 관련 서비스 제공자(거래소)의 의무와 이용자의 권리에 대한 기준도 불명확하다. 여전히 전통자산 대비 불투명하고, 정보의 비대칭성이 심각하다. 디지털자산 특성상 보안의 중요성도 더 강조돼야 한다.

지난해에는 가상자산시장의 급팽창으로 거래소와 함께 투자자들도 수익 기회를 누릴 수 있었다. 이제는 단순한 시세 폭발에 기대하기보다는 이용자들이 합리적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 한국거래소는 상장 종목에 대한 공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 가상자산거래소는 상장된 코인에 대한 정보 제공이 미흡하다. 증권사의 상장 기업 분석 같은 서비스도 ‘걸음마’ 단계다. 가상자산거래소가 투자하고 갖춰야 할 부분이 많다는 뜻이다. 수수료율과 서비스 품질의 수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올해에는 가상자산 가격 상승세가 주춤하면서 지난해와 같은 실적을 기록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금융거래가 이뤄지는 사업인 만큼 재무 안정이 중요하다. 두나무와 빗썸코리아 모두 지난해 막대한 이익을 내면서 자기자본이 2조4000억원, 1조200억원 수준으로 커졌다. 하지만 부채도 각각 7조2000억원, 1조8000억원으로 함께 불어났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대로 디지털산업에 대한 법령 등이 새로 만들어진다면 가상자산거래소의 재무 기준도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은행과 증권사 등 전통 금융회사들의 가상자산시장 진출도 잇따를 전망이다. 가상자산거래소들도 이들과의 경쟁을 대비한 체력을 쌓기 시작할 때다.

 

 

비싸게 설치했는데.."무쓸모 방역장비, 자영업자 속 탄다 尹당선인 자영업자·소상공인 빈곤탈

빠르면 현정부에 추경 요청, 안들어주면 정부출범하면서 추경안 국회에 "QR 인증 태블릿과 체온측정기 어떻게 하실 예정인가요" 태블릿 PC, 열화상 온도기 등 각종 방역물품을 장만했던 자영업자

hoonseun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