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착륙 불확실성에도…엔비디아에 매그니피센트7도 들썩 주요국 1등 대표주 중 삼성전자만 약세

반응형

미국 경제 불확실성 커져가는데
AI 대장주 엔비디아
호실적에 시간 외 거래 급등
M7 주가도 끌어올릴 것이란 전망

일각에선 M7 버블론
역대 버블과 비교해보니
엔비디아의 호실적이 ‘매그니피센트7(애플·마이크로소프트·구글 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 플랫폼·테슬라)’의 주가를 끌어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일각서 나온 ‘거품론’ 우려에도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시점이 6월로 후퇴한 가운데 나타난 현상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통상 고금리 기조가 지속될수록 기술주에 대한 하방 압력이 거세지기 때문이다.

나스닥 3거래일 연속 하락…엔비디아 실적에 반등 전망


21일(현지시간) M7의 주가는 글로벌 금융 인사의 매파적(긴축 선호) 발언으로 대부분 하락 마감했다. “너무 빠른 금리 인하를 경계하고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는 Fed의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부담을 준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인플레이션율이 높아졌다는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 지표가 나오자 나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지난달 CPI는 전년 대비 3.1%, PPI는 전월 대비 0.3% 오르면서 각각 시장 예상치 2.9%, 0.1%를 상회했다.
하지만 이날 장 마감 후 엔비디아 실적 발표 후 상황이 반전됐다. M7은 대부분 시간 외 거래에서 상승했다. 나스닥100지수를 추종하는 ‘인베스코 QQQ 트러스트 시리즈 1(티커명 QQQ)’는 시간 외 거래에서 약 1% 올랐다.
미국 경제 연착륙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는 와중에도 기술주 주가가 뛰자, 월가에서는 버블 붕괴에 대비해야 한다는 경고음이 흘러나왔다. 시장이 소수의 주식과 하나의 특정 주제에 지나치게 매몰되는 모습이 2000년대 초반 ‘닷컴 버블’을 연상시킨다는 이유에서다.

BoA M7 주가 거품 아니다”

이에 대해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역대 버블 붕괴 사건과 AI 상용화에 힘입은 M7의 주가수익률(PER)을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M7의 주가 상승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ER가 높으면 기업이 사업 활동으로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것을 뜻한다.
먼저, 일본 거품경제 시절이던 1986~1989년 니케이225지수는 이 기간 주가가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149% 상승했다. 가장 높을 때 PER는 67배로 집계됐는데 이는 역대 버블 중 가장 높은 수치다. 1998~2000년 닷컴 버블 때 나스닥지수는 마찬가지로 192% 올랐고, PER은 65배였다. 2020~2021년 코로나19 버블이 촉발한 유동성에 NYSE FANG플러스(+) 지수는 저점에서 고점까지 무려 229% 뛰었다. 최고점 PER는 60배였다.
반면, 2022년 12월7일 이후 챗GPT가 촉발한 생성형 AI 열풍으로 M7은 139% 올랐고, 최고점 PER는 45배로 기록됐다. M7 주가가 크게 뛰긴 했지만, 역대 버블과 비교하면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평가다. BoA의 마이클 하트넷 전략가는 “매그니피센트7의 버블이 터질 수 있는 수준에 가까워졌다는 점에서 이전 버블과 유사하지만, 아직은 그렇지 않다는 걸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 외 주요 빅테크도 AI를 통해 수익을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 추가 상승 여지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아마존, 메타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모회사)은 엔비디아 매출의 약 40%를 차지하는 최대 고객사인 동시에 자체 AI 반도체(칩) 구축을 위해 힘쓰는 중이다. 블룸버그는 “엔비디아의 탄탄한 전망이 주식 시장의 부활을 주도한 인공지능(AI) 열풍에 대한 신뢰를 강화한 이후 빅테크는 반등할 준비가 돼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평가했다.
다만 지나친 상승세에 경계론도 여전하다. 엔비디아가 상승하면 테마주까지 크게 들썩인다는 이유에서다. 엔비디아가 지난 15일 음성 인식 AI 업체 사운드하운드(SOUN) AI 이미지 처리 업체 나노엑스(NNOX) 등에 투자한 사실이 확인되자 그날 주가가 각각 67%, 49% 급등했다. 이날 시간 외 거래에서도 4%, 6% 오름세를 보였다. 존 핸콕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에밀리 롤랜드와 맷 미스킨은 “엔비디아는 확실히 품질이 높지만, AI 과대 선전은 합리적인 가격 단계를 벗어났다”고 지적했다.

 

시총 연말비 22.8%→20.9% ↓
경쟁사 MS·도요타·TSMC는 증가

한국, 미국, 일본, 대만 증시를 대표하는 각국 시가총액 1위 기업의 위상이 엇갈리고 있다. 올 들어 각국 주가지수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 도요타, TSMC가 차지하는 시총 비중은 증가했지만, 삼성전자는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각국 대표주(株)가 증시 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방어주에 머문다는 평가가 나온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코스피 안에서 삼성전자의 시총 비중은 20.9%로 지난해 연말 22.8%보다 감소했다. 이 기간 코스피 시총 합산 규모는 2055조 7579억원에서 2082조1514억원으로 증가했지만 삼성전자 시총은 468조6279억원에서 434조6002억원으로 줄었다. 올 들어 코스피 내 삼성전자 비중은 1월 중순(19일) 23%까지 올랐지만 2월 들어 21.8%로 감소한 뒤 최근 20%대까지 떨어진 것이다.
반면 MS, 도요타, TSMC는 이 기간 상승 흐름을 나타냈다. MS는 스탠더드앤푸어스500 내 비중이 6.7%에서 6.8%로 올랐다.
MS 시총이 3조 1000억달러를 웃돌았던 지난 9일 기준 7.1%까지 올랐지만,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자 금리 인하 기대감 감소에 따른 주가 하락 등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다.
도요타는 지난해 말 닛케이225지수 내 비중이 6.99%였지만 1월 들어 7%대에 진입한 뒤 2월엔 8%대로 올라섰다. 지난 16일 기준 도요타는 닛케이225 시총 합산 683조268억엔 규모 중 55조6994억엔을 차지하면서 8.2%를 기록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도요타는 7년 반만에 삼성전자 시총을 넘어서면서 아시아 2위로 올라섰다. 자동차 성능 향상으로 인한 제품 가격 인상 및 엔화 약세에 힘입은 수출 호황 등 영향이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는 대만 가권지수 내 비중이 27.1%에서 29.9%로 증가하면서 가장 크게 상승했다. TSMC는 지난 15일 장중 한때 전장 대비 9.8% 급등하며 3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AI랠리에 따른 반도체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데다 애플과 첨단 패키징 대량 계약을 맺었단 소식이 영향을 미치면서다. 엔비디아의 AI 칩을 제조하는 대표적 AI랠리 수혜주로 30%대 진입도 무난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변국 1등주가 연초 후 각국 지수를 견인하는 주도주 역할이라면 삼성전자는 방어주 역할이란 평가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국내 증시의 삼성전자는 성장주도 가치주도 아닌 방어주”라며 “방어주는 주가가 수동적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코스피 내 비중은 미국 경기와 달러인덱스 변화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이다. 달러 약세로 외국인 자금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로 유입 시 삼성전자 비중이 올라가는 식이다. 다만 “다른 종목들이 올라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고도 짚었다.
삼성전자는 D램에서 여전히 1위지만 고부가 첨단 반도체인 HBM(고대역폭 메모리) 주도권을 빼앗긴데다, TSMC와 파운드리 격차는 벌어졌다. 트렌드포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파운드리 세계시장 점유율에서 TSMC는 57.9%, 삼성전자는 12.4%다.
다만 지난해 삼성 파운드리는 최대 수주(160억 달러)를 달성했고, 증권가에선 2028년께 24% 점유율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최근 모바일용 2nm(나노미터·10억분의 1m)칩을 포함한 선단 공정의 수주 증가는 삼성 파운드리 사업의 반전 계기를 마련해 향후TSMC와 대등한 경쟁이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고 했다.

 

뉴진스, 테일러 스위프트 다음 최고 순위 뉴진스 하니, 완벽한 출국길 수줍게 미소

IFPI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8위 K-팝 여자 아티스트 최고 순위에 뉴진스(NewJeans)가 국제음반산업협회(IFPI)의 ‘2023년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에서 K-팝 여성 아티스트로는 유일하게 ‘톱 10’에

hoonseun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