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경로대로면 제주·남해안·경상해안 '폭풍반경'에 들어
강도·변수 많지만 일본 기상청과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 예상도 비슷
2일 밤부터 대만 동해상서 북상…5일 제주 영향
1일 오후 제주-남해안 비구름대…중부지방 확대
지역 따라 강수량 500㎜↑…강풍·강우 피해 우려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6일께 한국과 일본 사이 대한해협 중앙으로 지나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재 예상경로면 제주 및 부산을 비롯한 남해안과 경상해안이 태풍 폭풍반경에 든다.
1일 오후 3시 힌남노는 초강력 태풍으로 세력을 유지한 채 대만 타이베이 남동쪽 550㎞ 해상을 지난 것으로 파악된다.
힌남노는 2일 새벽까지 현 위치에 머물다가 북상을 시작해 5일 오후 3시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430㎞ 해상까지 직선에 가깝게 북진하다가 '1시 방향'으로 꺾어 6일 오후 3시 부산 동남동쪽 50㎞ 부근 해상에 이르겠다.
부산 동남동쪽 해상에 이르렀을 때 힌남노 강도는 '강'일 것으로 예측된다.
태풍 강도 '강'은 최대풍속이 '33㎧(시속 119㎞) 이상 44㎧(시속 158㎞) 미만'인 경우다. 현재 초강력보다는 세기가 약해지는 것이지만 강태풍도 기차를 탈선시킬 정도의 힘은 가진 태풍이다.

서귀포시 남남서쪽 해상에서 부산 동남동쪽 해상까지 힌남노 폭풍반경(풍속이 25㎧ 이상인 범위)은 170㎞, 강풍반경(풍속이 15㎧ 이상인 범위)은 400~420㎞로 예상된다. 예상대로면 충청 이남으로는 전부 힌남노 강풍반경에 포함된다.
힌남노가 타이베이 남동쪽 해상에 정체할 때 세기가 약화할 수 있는 등 힌남노 미래엔 변수가 많은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6일 오후 3시 힌남노 위치 '70% 확률반경' 크기가 서울과 부산 직선거리보다 먼 380㎞나 된다. 태풍 위치 70% 확률반경은 '태풍의 중심이 위치할 확률이 70% 이상인 곳'을 말한다.
다만 힌남노가 직진에 가깝게 북진하다가 살짝 동쪽으로 꺾어 한국과 일본 사이를 지나갈 것이라는 예상은 우리나라 기상청뿐 아니라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을 지닌 일본 기상청(RSMC 도쿄)과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도 내놓고 있다.

힌남노가 예상대로 움직이면 5일 오후부터 6일 또는 7일까지 우리나라에 정말 많은 비가 내리겠다.
해안이나 산지 등 지형 영향이 있는 곳에선 총강수량이 500㎜를 넘기도 하겠다.
연 강수량 절반이 하루 이틀에 내린다는 전망이다.
시간당 강수량도 '50~100㎜'에 달할 수 있겠다.

제11호 태풍 '힌남노'(Hinnamnor)의 북상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추석 연휴 전인 다음 주 초 우리나라 쪽에 매우 강한 비바람을 동반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1일 기상청 정례 브리핑에 따르면, 힌남노는 이날 현재 대만 타이베이 동남동쪽 약 51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8㎞로 서남서진하고 있다. 중심기압은 915h㎩(헥토파스칼), 강풍반경은 300㎞이다. 중심최대풍속은 초속 54m로 '초강력' 단계의 태풍으로 발전했다.
힌남노는 2일까지 점차 서진이 느려진 후 대만 동쪽 해상에서 정체됐다가 2일 밤부터 북상을 시작해, 5일 오전 9시께는 제주 서귀포 남남서쪽 약 470㎞ 부근까지 올라온 뒤 남해안 쪽으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체기간 동안에도 915h㎩의 강한 태풍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힌남노는 6일 오전 9시 서귀포 동북동쪽 180㎞ 해상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때 중심기압은 945hPa, 최대 풍속은 초속 45m로 예상된다. 2004년 큰 피해를 입혔던 태풍 '매미'의 중심기압(954.0hPa)보다 강한 것이다.
다만 우진규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태풍의 한반도 상륙 여부에 대해선 "태풍의 북상 과정에서 많은 변수가 존재하고 현재의 수치모델로도 파악하지 못할 만큼 불확실성이 크다"며 "태풍 규모가 남한을 뒤덮는 규모로, 우리나라에 상륙하든 안 하든 미칠 영향이 높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태풍 북상 전 1차적 영향에 따라 1일 오후부터 제주와 남해안 일대에 강한 비구름대가 형성 돼 3~4일께 중부지방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기상청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2일부터 3일까지 제주는 누적 강수량 100~200㎜, 많은 곳은 300㎜ 가량의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전남 남해안과 경남권 해안에는 50~100㎜의 비가 예상된다.
아울러 2일부터 경북 남부, 3일부터 남해안을 제외한 전남권과 경남 내륙에 10~60㎜의 비가 예상된다. 강원 영동과 경북 북부는 2일부터, 전북은 3일부터 5~30㎜의 비가 내릴 전망이다.
아울러 태풍 본체가 북상하면서 높은 산지나 해안가를 중심으로 시간당 50~100㎜의 비가 내리고, 해안가에는 초속 50m의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이 통과하는 7일까지 지역에 따라 500㎜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다.
기상청은 2016년 제18호 태풍 '차바'의 사례를 들기도 했다. 우 예보분석관은 "제주 산지(백록담)에 이때 초속 59m의 강한 바람이 불었는데 이번에도 강한 바람이 불 것"이라며 "제주 높은 산지에는 최대 600㎜의 강한 비가 내렸는데 이에 육박하거나 상회하는 매우 많은 양의 비가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우 예보분석관은 "강한 바람이 풍파를 일으키면 폭풍 해일이나, 월파 가능성이 높으며, 저지대 침수가 우려된다. 산사태와 시설물 파손, 공사장 파손 등 강한 비와 바람으로 인해서 적치물들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며 "밤 동안 외출을 자제하고 시설물을 미리 정비, 점검해 피해를 입지 않게 하길 바란다"고 안내했다.
태풍이 지나간 7일 이후 추석 연휴 날씨에 대해선 "태풍이 지난 후 예측 변동성이 커지기에 단언하기 어렵다"고 했다.
뷔·제니 열애설 또 불지핀 사진 한장…소속사는 이번에도 침묵 이번엔 집데이트
그룹 방탄소년단(BTS) 멤버 뷔와 블랙핑크 멤버 제니의 열애설이 재차 불거졌다.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뷔와 제니로 추정되는 남녀의 사진이 확산했다. 공개된 사
hoonseu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