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번주 환율 10원 넘게 하락.. 옐런 방한 효과? 원·달러 환율 1300원 초반 등락 "强달러 진정되나"

이모아(issue more more) 2022. 7. 20. 20:23
반응형

지난주 1326원까지 크게 치솟아
한·미 유동성 공급 합의에 진정
코스피 반등세.. 장중 2400 회복

 


지난주 1325원을 넘어서며 글로벌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급등세를 보였던 원·달러 환율이 이번 주 들어 다소 진정 국면을 보이고 있다. 유로화 급등에 따른 달러화 약세, 미국의 금리 인상 리스크 완화, 한·미 유동성 공급 합의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하락 폭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다시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하긴 어렵다.

2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0.5원 내려간 1312.9원에 장을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이날 개장 초반에는 1303원까지 내려갔지만 오후 들어 달러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상승했다.

지난 15일 올해 연고점(1326.1원)을 기록한 원·달러 환율은 이후 3거래일 연속 하락하면서 1310원대까지 내려갔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방한을 계기로 한·미 당국이 필요시 유동성 공급 장치를 실행하기로 합의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한·미 통화스와프 합의가 구체화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영향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에 유로화가 상승, 달러가치가 하락한 것도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측정하는 지표인 달러인덱스는 이날 106.65로, 지난 15일의 108.6에서 내려섰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 1% 이상 상승하며 16거래일만에 장중 2400선이 회복되었으나 이후 상승 폭이 줄어들며 전 거래일 대비 15.88포인트(0.67%) 오른 2386.85에 장을 마쳤다. 개인은 이날 646억원을 사들인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11억원, 587억원을 팔아치웠다. 한편 한국예탁결제원은 이날 올 상반기 증권결제대금이 3649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3%, 직전 분기 대비 1.8% 감소했다고 밝혔다. 주식결제대금이 크게 감소한 탓이다. 상반기 주식결제대금은 203조900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27.3%, 하반기 대비 11.6% 줄었다.

 

 

2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13.4원)보다 6.4원 내린 1307.0원에 출발했다. 현재 하락세를 이어가며 1300원대 초반에서 등락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18일부터 3거래일째 하락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지난 14일 종가기준 1310원을 넘어선 이후 15일 1320원대 중반까지 치솟으며 연고점을 경신했다.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9.1%까지 상승하면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인상 폭이 1.0%p에 달할 것이라는 우려에 급등했다. 그러나 미국 긴축 속도가 0.75%p로 '자이언트 스텝'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다소 안정되면서 강달러는 누그러졌다.

이어 미국에서 주요 기업들이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위험자산 선호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다.
또 전날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한국을 방문하면서 외환시장 안정에 대해 의견을 교환해 시장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한미 양측은 외환시장 관련 협력에 합의하고 "한미 양국이 필요하면 유동성 공급장치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실행할 여력이 있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피로 극심할 땐? 이 음식 먹는 게 약 여름에 좋은 음식 best 7

월요일 아침 대부분의 직장인은 피로(疲勞)​를 안고 출근한다. 극심한 피로는 업무 효율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피로는 왜 생기는 것이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피로는 우리 몸의 에너지 공

hoonseung.tistory.com

 

반응형